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5

이럴 때 이렇게 사용하자! 구글렌즈 언젠가 찍은 곳인데 이 곳이 어디였지? 길가에 꽃이 예쁜데 이름이 뭐지? 저 물건은 어디서 살 수 있고, 얼마일까? 해외 여행할 때 영어가 아닌 메뉴판을 보려면 어떡하지? 이럴 때 구글 렌즈를 활용해 보자! 구글 렌즈는 카메라 또는 이미지를 통해 주변 세상을 이해하고 상호작용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인공지능 기반 앱이다. 단순히 검색 도구 이상으로, 다양한 기능을 통해 여러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구글 렌즈 별도의 앱으로 존재하던 구글 렌즈가 크롬에 통합되어 크롬 창을 열면 검색창 옆에 있다. ​ 모바일에서 구글 렌즈를 사용하려면 위와 같이 크롬 창을 열어 구글 검색바의 오른쪽 카메라 아이콘으로 구글 렌즈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는 구글 검색 위젯을 모바일 홈 화면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구글 검.. 2024. 2. 29.
딥페이크(Deepfake) 딥페이크란 딥페이크는 인공지능 기술, 특히 딥러닝의 발전으로 가능해진 인간 이미지 합성 기술이다. 딥러닝은 인간의 뇌 구조를 모방한 신경망을 사용하여 데이터에서 스스로 학습하는 기술이다. 딥페이크는 이 기술을 이용하여 실제 사람의 얼굴이나 목소리를 다른 영상에 삽입하여 마치 진짜인 것처럼 합성해낼 수 있다. 마치 마법처럼 한 사람의 얼굴을 다른 사람의 얼굴에 붙여넣거나, 말하지 않은 말을 하도록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딥페이크(deepfake)​ 딥 러닝(deep learning)과 가짜(fake)의 혼성어로 인공 지능을 기반으로 한 인간 이미지 합성 기술이다.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라는 기계 학습 기술을 사용하여, 기존의 사진이나 영상을 원본이 되는 사진이나 영상에 겹쳐서 만들어낸다.​ - 위키백.. 2024. 2. 28.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잊힐 권리 - 인공지능과 윤리 2 인간의 상실을 대체하는 인공지능 영화 스타워즈에서는 다스베이더 목소리를 담당했던 제임스 얼 존스가 90세가 넘은 나이로 옛날 목소리를 내지 못하게 되자 인공 지능으로 구현하고 있다고 한다. 더 이상 ‘I’m your father’ 의 목소리는 노배우의 목소리는 아닌 것이다. 얼마전 한 다큐멘터리에서는 세상을 떠난 아내, 딸 등을 AI 기술로 재현하여 가족의 얼굴과 목소리를 되살려 VR로 만나는 모습을 그렸다. 사랑하는 사람이 사망한 후 세상에 남겨진 이들이 가상 현실로나마 만나 못 다한 말을 전하는 시간이 되어 시청자도 함께 가슴이 먹먹한 시간이었다. ​ 또한 이런 기사도 있다. 비틀스의 리드보컬 존 레넌의 신곡이 인공지능(AI)으로 레넌의 목소리를 추출해 그가 생전 만든 곡과 합성하여 미공개된 곡을 완.. 2024. 2. 27.
오! 내 그림이 움직여! 로봇이 움직이는 원리 이해하기2 지난 번 포스팅에서 휴머노이드의 움직임과 인간의 관절에 대한 연구와 분석에 대해 알아 보았다. 로봇이 움직이는 원리를 알 수 있는 간단한 실습 프로그램으로 Scroobly 를 활용해 살펴 보았다면 인간형 로봇, 휴머노이드: 인공지능의 발전을 보여주는 상징 출처: https://rany-ko.tistory.com/entry/인간을-닮은-로봇-휴머노이드Humonoid [Ranyko의 디지털 세상:티스토리] 오늘은 더 재미있는 프로그램으로 실습해보려 한다. 내가 그린 그림에 관절을 설정하고 동작을 선택하면 그림이 관절부분의 유연함을 갖고 움직인다. 내가 그린 그림이 인공지능이 인식하여 움직이게 하기 Animated Drawings 메타(Meta)에서 만든 Animated Dra.. 2024. 2. 26.